개발 라이프

[면접] 웹 접근성, 웹 표준

chul.Lee 2022. 4. 16. 23:38
728x90

 

이번에는 웹 접근성과 웹 표준이 무엇인지 정리해보려 합니다.

 

웹 접근성 (WEB ACCESSIBILLITY):

  • 1)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콘텐츠를 인지한다.
  • 2)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 3) 그 내용이 쉬워야 하며, 
  • 4) 견고성을 지녀야 한다.

 

월드 와이드 웹을 창시한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는 웹을 이렇게 정의 했습니다.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들이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

 
즉 웹 접근성이란 제약을 가진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및 일반인이 어떠한 기술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웹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웹 접근성 가이드에 대한 가이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W3C의 웹 접근성 가이드 4가지 핵심 원칙:

  • 1)  인식 가능 : 사람은 콘텐츠를 보거나 들을 수 있다.
  • 2)  작동 가능 : 사람이 타이핑이나 음성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 3)  이해 가능 : 사람이 명확하고 단순한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 4)  견고성 : 사람들이 다른 보조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웹 접근성에 사용되는 보조 기기  :

자막, 스크린리더, 자동완성 기능, 마우스스틱, 색상 대비 디자인 등.

 

웹 표준

사용자가 어떤 브라우저나 기기를 사용하더라도 내용을 동일하게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웹 표준이라고 합니다.
 
W3C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 CSS, JavaScript 규정도 같이 담겨 있습니다.

국내 웹은 특정 브라우저(IE)와 사용자 등의 이용환경, 비표준 페이지, 과도한 플러그인 사용으로 모든 사용자들에게 운영체제 및 웹 브라우저 등의 정보접근 제약이 있습니다. 따라서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도록 웹 표준기술 작업이 필요하며, 웹 표준 준수는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한 핵심내용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즉 웹 접근성이 더 큰 개념이며, 웹 표준은 웹 접근성을 구현하기 위한 부분적 요소)

 

 

웹 표준으로 얻는 장점은 무엇인가요?

  • 1) CSS와 HTML이 분리되어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시간이 단축되고, 불필요한 마크업이 최소화되어 페이지 로딩속도가 향상.
  • 2) 오래된 브라우저에서도 컨텐츠가 적절하게 표시되고 호환성과 운용성이 확보.
  • 3) 논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작성된 웹 문서는 코드의 양이 줄어 파일 크기가 줄고 서버부담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 4) 스크린리더기 등 보조공학 기기 사용자들이 조금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웹 표준의 기술: 

  • 1) XHTML (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
  • 2) CSS (Cascading Style Sheets)
  • 3)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4) DOM(Document Object Model)
  • 5) ECMAScript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