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면접] 절차지향 언어 vs 객체치향 언어
이번에는 절차지향 언어와 객체지향 언어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절차지향(Procedural Programming)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처럼 순차적인 처리가 중요시 되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만드는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대표적인 절차지향 언어에는 C언어가 있습니다. 이는 컴퓨터의 작업 처리 방식과 유사하기 때문에 객체지향 언어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더 빨리 처리되어 시간적으로 유리합니다. 옛날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개발 속도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하드웨어의 빠른 발전을 통해 컴퓨팅 환경은 급속도로 증가했지만 소프트웨어 개발 시간이 따라가지 못하게 되고 이런 상황에 소프트웨어의 개발시간을 단축하되 하드웨어에 기본적인 사양을 잡..
[면접] HTTP 1.1 vs 2.0 차이
이번에는 HTTP 1.1 vs 2.0 의 차이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HTTP HTTP는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웹서버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중 하나 HTTP/1.1이 느린 이유 연결당 하나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기 때문에 동시 전송 문제와 다수의 리소스를 처리하기에 속도와 성능 이슈가 존재 HOL(Head Of Line) Blocking (특정 응답 지연) HTTP/1.1의 사양상의 제한으로 클라이언트의 리퀘스트의 순서와 서버의 응답순서는 동기화해야 됨 RTT(Round Trip TIme) 증가 (양방향 지연) 헤더가 크다 (특히 쿠키 때문) http/1.1의 헤더에는 많은 메타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음. 사용자가 방문한 웹페이지는 다수의 http 요청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매 요청시 마다 중..
[면접] 웹 접근성, 웹 표준
이번에는 웹 접근성과 웹 표준이 무엇인지 정리해보려 합니다. 웹 접근성 (WEB ACCESSIBILLITY): 1)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콘텐츠를 인지한다. 2)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3) 그 내용이 쉬워야 하며, 4) 견고성을 지녀야 한다. 월드 와이드 웹을 창시한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는 웹을 이렇게 정의 했습니다.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들이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 즉 웹 접근성이란 제약을 가진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및 일반인이 어떠한 기술환경에도 구애받지 않고 웹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웹 접근성 가이드에 대한 가이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W3C의 웹 접근성 가이드..
[면접]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개발자라면 한번쯤은 해보지 않을수 없는 생각입니다. 사전적인 의미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프레임워크(Framework)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개발 환경. 코딩을 할 때 자주 쓰이는 여러 클래스(Class, 변수와 함수의 묶음)를 프레임워크가 정해둔 흐름에 맞춰 쓸 수 있도록 지원해 주기 때문에 복잡하거나 반복되는 작업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개발에 들이는 시간 대비 프로그램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뷰(Vue.js)와 앵귤러(Angular)가, 자바에서는 스프링(Spring)이 대표적인 웹 프레임워크로 꼽힌다.) 라이브러리(Library)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여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